스프링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어노테이션을 붙여주어야 한다
이제 AppConfig를 이용하여 주입했던 부분을 주석 처리하고 스프링을 이용하자
ApplicationContext는 스프링의 컨테이너이다.
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는 Annotation 기반의 자바 설정 클래스로 스프링 컨테이너를 만든다
@Configuraion이 붙은 설정 정보를 사용한다. 인자로 AppConfig.class를 넘겨주어서 AppConfig를 활용하여 등록한다. 여기에 있는 @Bean이 붙은 함수들의 반환 객체들을 다 등록시킨다.
이때 빈의 이름은 함수의 이름을 사용한다.
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 객체를 스프링 빈이라고 한다.
getBean 함수를 통해 DI를 해준다. 이때 함수는 두 개의 인자 사용하는데 첫 번째 인자는 Bean이름 두 번째 인자는 반환 타입이다.
OrderApp을 실행 시키면
이렇게 스프링에 등록된 것을 볼 수 있다.
출처 : 인프런 스프링 핵심 원리 - 기본 편 김영한
'스프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프링 빈 조회하기 (0) | 2023.07.10 |
---|---|
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과정 (0) | 2023.07.10 |
AppConfig (0) | 2023.07.06 |
OCP, DIP 원칙이 위배되는 역할과 구현 분리 (0) | 2023.07.06 |
함수 작성 중 테스트 코드 작성하기 (0) | 2023.07.06 |